요약병기 코딩을 위한 세부 지침
보다 효과적인 병기코딩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추가적 세부지침을 제시한다. 요약병기 코드 중 다음 세가지 in situ (code 0), localized (code 1), distant (code 7)은 쉽게 분류할 수 있다.
In Situ : code 0
- 암종(carcinoma)와 흑색종(melanoma)은 상피내 암종으로서 분류될 수 있는 유일한 암의 형태이다. 암종(carcinoma)만이 기저막을 가지고 있다. 육종(sarcoma)은 기저막이 없으므로 in situ로 기술될 수 없다. 병리의사는 반드시 원발 장기를 검사하고 종양이 상피내 암종임을 언급해야 한다. 만약 암이 암종과 흑색종을 제외한 다른 것이라면 상피내 암종이 될 수 없다.
- 침윤(혹은 확장)이나 림프절 전이 또는 원격전이의 증거가 있다면, 이 경우에는 병리보고서가 상피내 암종이라고 언급하더라도 상피내 암종이 아니다. 자궁경부암 병기코딩과정에서 이러한 오류가 종종 일어나는데, 병리보고서에 ‘in situ with microinvasion’ 이라고 언급된 경우이다. 이 경우의 병기는 Localized(1)로 코딩해야한다.
Distant : code 7
- 전이가 언급되었다면 더 이상 Local이나 Regional을 확인하려고 시간을 보낼 필요가 없다. X-ray나 Biopsy에 원격전이가 나타났다면 병기는 이미 결정된 것이며 환자는 다른 많은 검사들을 받을 필요가 없다.
- 백혈병과 다발성 골수종 같은 조혈계(hematopoietic)질환은 진단시점에 파종되거나 원격전이 되었다고 간주한다.
- Seeding, implants, 간내 결절, 혹은 다른 전이의 징후에 대해 언급한 수술 기록지를 읽고서 원격전이로 분류한다. 원격전이 분류를 위한 참고로 진단기록을 읽어야 한다.
- 림프절, 장기, 인접조직이 특별히 언급되지 않았다면 약술한 용어들의 전후 참조를 읽어본다. 전후 내용이 맞지 않는다면 어느정도 윤곽잡은 용어를 갖고 상호참조를 시도해 본다. 만약 일치하는 것이 없다면 문제의 부위는 원격전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한다.
Localized : code 1
- 암이 ‘원발장기에 한정된’ 경우를 코딩한다. Localized로 분류되기 위해서는 암이 장기의 경계선을 넘어서 확장되면 안되며 어디에도 전이의 증거가 없어야한다.
- ’혈관침윤(blood vessel invasion)’, ‘perineural or lymphatic invasion’ 같은 용어가 암이 원발장기를 넘어서 퍼졌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만약 원발부위 종양이 림프절이나 혈관에 침범했다면 악성세포들이 몸 전체에 퍼질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암이 침윤(step1)했다고 해서 반드시 암세포들이 이송(step2)되고, 전이 부위에서 다시 성장(step3)하는 건 아니므로, 이런 경우 여전히 ‘localized’ 로 볼 수 있다.
- 원발부위 내에 혈관이 침범되었다 할지라도 원격전이에 대한 확실한 증거가 없다면, 그 사실이 병기를 바꾸는 요소는 아니다.
Regional : code 2~5
- 병기가 In situ, local, distant가 아니라면 regional이다.
- 림프절에 종양이 포함(침범)되었다면 병기는 최소한 regional이다.
- 조직, 구조, 림프절에 반대편(contralateral) 또는 양쪽(bilateral)이라고 언급되지 않았다면 같은 쪽(ipsilateral)으로 간주한다.
Unknown if Extension or Metastasis : code 9
- 의무기록의 정보가 병기를 분류하기에 불충분하다면 병기코딩불가(unstageable)로 기록한다.